한국철강협회 - 스테인리스스틸 클럽, 스틸하우스 KOSFA, 강구조센터, 철스크랩위원회, 강관협의회, 선재협의회
검색
스테인리스스틸 클럽
제품소개
회원사
클럽 소개
정보/자문
사진/영상
제품 기획안 상시 공모
KOSFA (스틸하우스)
제품소개
회원사
KOSFA
알림/자료
사진/영상
강구조센터
제품소개
회원사
강구조센터
알림/자료
사진/영상
철스크랩위원회
제품소개
회원사
철스크랩위원회
알림/자료
사진/영상
강관협의회
제품 소개
회원사
협의회 소개
공지/자료
기술자문
사진/영상
선재협의회
제품소개
회원사
선재협의회
알림/자료
사진/영상
고객센터
철이 있어 편안한 세상, 철이 새로운 세상을 열어갑니다.
고객센터
커뮤니티
뉴스&회원사소식
교육&세미나
공지사항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갤러리
사진자료실
영상자료실
뉴스&회원사소식
전체
스테인리스스틸
스틸하우스
강구조
철스크랩
강관
선재
번호
구분
내용
작성자
등록일
공지
[뉴스]
고성능 자재 ·시공성 내세운 스틸하우스, 건축물 품질제고로 시장 선도
관리자
2022-04-20
공지
[뉴스]
제16회 강관수요개발 공로상 후보자 추천 공고문
관리자
2025-09-12
공지
[뉴스]
STS 건자재 우수 설계 사례 포상 실시 안내
관리자
2025-08-11
공지
[뉴스]
건설현장 STS 부적합 사용 개선사례 신고포상 실시 안내 (접수기간 연장, ~7.31일 까지)
관리자
2024-05-14
공지
[뉴스]
22년 철스크랩 집게차 기사양성교육 접수
관리자
2021-11-03
공지
[뉴스]
철스크랩 고의적 불순물 신고센터 안내
관리자
2021-06-11
공지
[뉴스]
철스크랩운반차량 관리 신규 프로그램 오픈
관리자
2020-12-04
공지
[뉴스]
철스크랩 산업발전 아이디어센터 안내
관리자
2020-08-26
585
현대제철, 분기 매출 사상 최대
현대제철이 일관제철소 조업의 조기 안정화를 바탕으로 800만톤 생산체제를 확립하며 분기 매출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현대제철은 4월 28일 서울 여의도 한국증권거래소에서 경영설명회를 갖고 “2011년 1분기 2고로 조업 안정화에 따른 판재류 판매 물량 증가로 매출 3조5,468억원, 영업이익 3,093억원, 당기순이익 2,583억원을 기록했다”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5.8%, 137%, 9.6% 증가한 것으로 매출은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이라고 밝혔다.
현대제철은 “특히 고로 2기가 조기 안정화됨에 따라 800만톤 생산체제에 따른 규모의 경제 효과를 창출하고 전기로 공정 최적화를 통한 저원가 조업 지속으로 1분기 동안 1,185억원의 원가 절감을 이룰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이익을 창출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현대제철은 1고로 조업 안정화 경험을 2고로에 적용함으로써 화입 후 62일 만에 정상 생산 목표치인 일일 출선량 1만1,650톤을 달성했으며 이는 1고로 대비 89일이나 단축한 일정이다. 2고로는 1분기에 102만톤의 쇳물을 생산해 계획 대비 105%의 생산 목표를 달성했다.
또한 현대제철은 이번 1분기에 사상 처음으로 판재류 판매량이 봉형강류를 넘어서 자동차, 조선 등의 수요업계에 공급하는 물량이 증가함에 따라 건설 등 일부 수요 산업의 부진을 메울 수 있었다. 현대제철은 1분기 동안 판재류 205만3,000톤을 판매해 전체 판매량의 53%를 차지했으며 봉형강류와 중기계 등 다른 품목들의 판매량은 181만9,000톤을 기록했다.
현대제철은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한 조기 강종 개발에도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일본 대지진에 따른 내진설계 강화 및 내진용 강재 필요성 증가에 따라 이미 개발을 완료한 내진용 강재가 주목을 받으며 판매가 증가하고 있다.
현대제철은 국내 최초로 내진성능을 향상시킨 내진 H형강, 철근(SD-S), 후판(SN재)등 관련 강종의 개발을 마친 상태다.
열연강판 분야에서도 자동차 강판 개발 연간 목표인 32종 가운데 1분기에 이미 16종의 개발을 완료했으며 12종에 달하는 자동차 외판 전 강종의 개발을 8월말 완료하고 이를 바탕으로 초고강도 신강종 개발에 돌입한다는 방침이다. 후판 분야에서는 연간 목표 37종 중 이미 21종의 개발을 완료했다.
이로써 현대제철은 원자력 및 풍력 발전설비, 해양구조물, 특수강 등 다양한 분야에 후판, H형강, 철근 등의 건설자재를 공급하게 돼 건설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현대제철은 4월 착공에 들어간 3고로의 하부공정 증설에 나서 현재 350만톤 규모인 C열연공장의 생산능력을 550만톤까지 확장하고, 150만톤 규모의 제2 후판공장을 추가로 건설할 계획이며 기존 1후판공장의 생산능력도 50만톤 증설해 200만톤으로 확장한다.
현대제철 일관제철소는 2013년 열연강판 850만톤, 후판 350만톤 등 총 1,200만톤의 생산 체제를 구축해 자동차, 건설, 조선 등 관련 수요산업의 국가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전망이다.
현대제철은 2분기 1, 2고로의 정상조업 달성과 봉형강의 계절적 성수기 등 영업환경이 개선됨에 따라 매출량 430만톤, 매출액 4조1,033억원을 기록, 1분기에 이어 사상 최대 실적 경신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 끝 =
* 문 의 처 : 홍보팀 정민 차장/박천탁 과장(Tel: 3464-6091~4)
관리자
2011-05-02
584
포스코, 1~4차 953개 기업과 동반성장 협약
국내 최초 2차 협력기업까지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 확대
포스코가 국내기업 중 처음으로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을 2차 협력기업까지 확대하고, 유망 중소기업을 글로벌 중견기업으로 육성하는 등 포스코만의 차별화된 동반성장 활동을 지속 강화한다.
포스코는 4월 27일 포스코센터에서 1~4차 협력기업 953개사와 ‘포스코패밀리 공정거래 및 동반성장 협약식’을 개최했다.
▶
포스코는 4월 27일 포스코센터에서 1~4차 협력기업 953개사와 공정거래 및 동반성장 협약식을 갖고 건전한 기업생태계 정착과 공정거래 문화 확산을 다짐했다. 앞줄 왼쪽부터 2차 협력기업 대표 이수현 청우피앤티 사장, 정병철 전경련 부회장,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 정준양 회장, 김동수 공정거래위원장, 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 이동근 대한상공회의소 부회장, 1차 협력기업대표 나채홍 동주산업 회장.
이번 협약식에서는 포스코와 1차 협력기업 간에 시행하던 기존 CP (Compliance Program·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를 국내기업 최초로 출자사 차원에서 1차와 2차 협력기업으로 확대하는 선포식도 가졌다.
포스코는 이미 2002년부터 CP를 도입해 운영 중이며, 이번 선포를 통해 포스코와 출자사는 물론 1차와 2차 협력기업에 이르기까지 더욱 넓은 범위에서 공정거래 자율준수를 실현할 방침이다.
또한 이날 포스코와 포스코건설·포스코특수강·포스코파워 등 12개 출자사는 1차 협력기업 637개사와 협약을 맺고, 1차 협력기업은 다시 2~4차 협력기업 316개사와 협약을 맺는 등 모두 953개사가 협약을 맺어 공정거래와 동반성장이 정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포스코는 올해에도 중소기업의 기술개발 및 장비·설비 투자자금 지원, 동반성장지원단 활동 확대, 벤처창업지원센터 설립 등 포스코패밀리만의 차별화된 동반성장 프로그램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선순환 기업생태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정준양 회장은 이날 협약식에서 “포스코가 좋은 기업, 존경받는 기업을 넘어 ‘사랑받는 기업’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임직원에게 당부 드리고 있다”면서 “동반성장 활동이 ‘사랑받는 기업’으로 가는 첫걸음이라는 믿음으로 앞으로도 포스코패밀리 전체가 열과 성을 다할 것을 약속 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협약식에는 정준양 회장을 비롯해 12개 출자사 대표, 1~4차 협력중소기업 대표, 김동수 공정거래위원장, 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 정병철 전국경제인연합회 부회장, 이동근 대한상공회의소 부회장 등 정부와 유관기관 관계자 250여 명이 참석했다.
협약식을 마친 후‘공정거래 및 동반성장 문화 조성방안’과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방안’등 두 개의 세션(session)으로 나뉘어 콘퍼런스가 진행됐으며, 참석자들은 전문가 강연과 패널토론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김문주 lizkim@posco.com
<자료=동반성장사무국>
관리자
2011-04-28
583
동국제강, 연산 120만톤 철근공장 착공
노후설비 폐쇄…고효율 저탄소 공장으로 탈바꿈
동국제강이 인천제강소에서 연산 120만톤 생산능력의 신규 철근 압연공장을 착공했다.
동국제강은 4월 21일 ef(eco-friendly, 친환경)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인천제강소(인천 동구 송현동 소재)에 연산 120만 톤 생산능력의 신규 압연공장 건설 착공식을 갖고,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의 친환경 철강 공장으로 바꾼다.
김영철 동국제강 사장은 이날 “인천제강소를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지속성장 가능한 철근 전문 제강소로 완성하겠다”고 말했다.
동국제강의 ef프로젝트는 인천제강소에 2009년부터 1, 2단계에 걸쳐 총 4,700억 원을 투자해 노후 설비를 폐쇄하고 대신 고효율 저탄소 배출 설비로 대체하는 프로젝트다. 이를 통해 철강공장의 친환경성을 높이고, 다양한 고부가가치 철강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이다.
이번 압연공장 공사는 총 1900억 원을 투자해 연산 120만 톤의 최신 철근 압연공장을 2012년 7월까지 건설하는 것으로 새 설비가 가동되면 기존의 압연 라인 1기를 폐쇄한다. 신규 압연 설비는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조업 상황에 따라 가열로 방식을 탄력적으로 조정해 결과적으로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에 앞서 동국제강은 2009년 말부터 2,800억 원을 투입해 인천의 노후 30톤 전기로 2기를 폐쇄하고 연산 120만 톤 능력의 에코아크 전기로를 2010년 10월 완공시킨 바 있다. 이 설비는 기존 전기로 방식을 혁신적으로 바꿔 에너지 절감 효과를 극대화한 저탄소 제강 방식을 도입했다.
프로젝트가 완료되면 동국제강 인천제강소는 현재 연산 140만 톤 생산 체제에서 연산 220만 톤으로 증강된다. 특히 친환경 저탄소 철근 전문 생산 공장으로서 최대 지름 57mm의 철근과 인장강도 800mpa(메가파스칼)의 초고장력 철근(sd800) 등에 이르기까지 전 규격의 고부가가치 철근 제품을 경쟁력 있게 생산하게 된다. 동국제강 전체로는 후판, 철근, 형강 등 현재 770만톤 생산체제에서 2012년 이후 총 850만톤의 고급강 철강제품 생산체제를 갖춘다.
동국제강 김영철 사장(오른쪽에서 세번째)이 4월 21일 인천제강소에서 신규 압연공장 착공식에 참석해 시삽을 하고 있다.
관리자
2011-04-21
582
철강협회,‘내지진 강관구조’책자 발간
● 지진에 강한 내지진 강관 사례집 발간으로 국내 건축물 안전에 기여한국철강협회 내지진강관전문위원회는 지진에 강한 내지진강관의 활용 사례를 통하여 설계자 및 현장 기술자들이 실무에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최근 “내지진 강관구조”책자를 발간했다. 총 117페이지로 제작된 사례집에서는 내지진 강관의 소개 및 특성, 적용 사례, 강관치수 표준화, 부록으로 강관 접합부에 대한 특허 및 독일, 일본 등 해외 적용 사례조사가 수록 되어있다. 특히, ‘내지진 적용 사례’ 부분에서는 서남권 돔 야구장, 진주 종합경기장, 숭의 운동장, 고양 실내 체육관 등 내지진 강관 적용 사례를 통해 구조 설계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철강협회 관계자는 “일본 대지진으로 그 어느 때보다 지진에 대한 안전이 강조되고 있는 시기에, 지진에 강한 내지진 강관 활용 사례집이 발간되어 국내 건축물의 안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내지진 강관은 내진성능과 용접성능이 우수한 건축 구조용 강재인 SN(Steel New)강을 사용하여 지진 발생시 건물의 전체 붕괴를 방지하여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제작된 강관을 말한다. 한편 내지진 강관 설계 사례집 및 관련 자료는 강관협의회 강관말뚝위원회 홈페이지(www.steelpile.com)에서 무료로 볼 수 있다. 내지진강관전문위원회는 14개 회원사(세아제강, 현대하이스코, 휴스틸, 미주제강, 금강공업, 동부제철, 동양철관, 넥스틸, 하이스틸, EEW코리아, 스틸플라워, 현대알비, 삼강엠앤티, 창원벤딩)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지진강관의 활성화를 위한 기술개발 및 홍보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 SN강재 : 내진설계강화 및 용접성 향상 목적으로 개발된 강종으로 1999년 11월 KS 규격으로 제정되었다.
관리자
2011-04-20
581
철강협회,‘내지진 강관구조’책자 발간
● 지진에 강한 내지진 강관 사례집 발간으로 국내 건축물 안전에 기여한국철강협회 내지진강관전문위원회는 지진에 강한 내지진강관의 활용 사례를 통하여 설계자 및 현장 기술자들이 실무에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최근 “내지진 강관구조”책자를 발간했다. 총 117페이지로 제작된 사례집에서는 내지진 강관의 소개 및 특성, 적용 사례, 강관치수 표준화, 부록으로 강관 접합부에 대한 특허 및 독일, 일본 등 해외 적용 사례조사가 수록 되어있다. 특히, ‘내지진 적용 사례’ 부분에서는 서남권 돔 야구장, 진주 종합경기장, 숭의 운동장, 고양 실내 체육관 등 내지진 강관 적용 사례를 통해 구조 설계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철강협회 관계자는 “일본 대지진으로 그 어느 때보다 지진에 대한 안전이 강조되고 있는 시기에, 지진에 강한 내지진 강관 활용 사례집이 발간되어 국내 건축물의 안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내지진 강관은 내진성능과 용접성능이 우수한 건축 구조용 강재인 SN(Steel New)강을 사용하여 지진 발생시 건물의 전체 붕괴를 방지하여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제작된 강관을 말한다. 한편 내지진 강관 설계 사례집 및 관련 자료는 강관협의회 강관말뚝위원회 홈페이지(www.steelpile.com)에서 무료로 볼 수 있다. 내지진강관전문위원회는 14개 회원사(세아제강, 현대하이스코, 휴스틸, 미주제강, 금강공업, 동부제철, 동양철관, 넥스틸, 하이스틸, EEW코리아, 스틸플라워, 현대알비, 삼강엠앤티, 창원벤딩)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지진강관의 활성화를 위한 기술개발 및 홍보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 SN강재 : 내진설계강화 및 용접성 향상 목적으로 개발된 강종으로 1999년 11월 KS 규격으로 제정되었다.
강관협의회
2011-04-20
580
2011년도 제1회 철스크랩위원회 이사회 개최
철스크랩委, 단일 검수 정착 활동 적극 추진
● 철스크랩 통계 DB구축 등 2011년 사업 확정
한국철강협회 철스크랩위원회(회장 오일환, 철강협회 상근 부회장)는 4월 5일 오전 11시 르네상스호텔에서 제강업계 및 철스크랩업계 관계자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금년 첫 이사회를 개최하고, 2011년도 사업계획을 확정했다.
이날 확정된 사업계획에 따르면 금년도 철스크랩위원회는 단일검수 정착 활동과 철스크랩 통계DB 구축, 철스크랩 유통구조 선진화 방안 연구 등 철스크랩 경쟁력 향상을 위한 사업을 적극 추진키로 했다.
먼저 각 제강사간 최소한의 판정기준 정립을 통한 단일 검수 정착을 위해 분기별 1회이상 철스크랩 검수현장을 방문하고, 모든회사의 검수 파트가 준수해야 할 최소한의 판정기준을 정립할 계획이다. 단일검수 홍보를 위해 철스크랩 매뉴얼과 검수교육용 영상물도 제작할 계획이다.
또한 철스크랩 위원회는 철스크랩 KS인증제 확산을 위한 방안 모색, 리사이클 제도관련 제도개선, 폐기물 관련법 관련 제도 개선 등 각종 철스크랩 관련 제도개선을 추진하고, 철스크랩 유통구조 선진화 방안을 연구용역하여 철스크랩 업계의 발전을 도모할 예정이다.
특히 금년에는 철스크랩 공급사 통계 DB구축에 역량을 강화할 예정이며, 수집된 철스크랩 통계를 공유화 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해외단체와의 교류를 통해 상호 관심분야에 대한 협력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오일환 철스크랩위원회 회장은 “각종 사업을 통해 제강업계와 철스크랩 업계가 서로 윈-윈할 수 있는 결과가 도출할 수 있도록 양업계간 적극적인 신뢰와 협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이사회에서는 오일환 회장을 비롯하여 제강업계에서 현대제철 김종민 이사, 동국제강 진흥열 이사, 동부제철 이충녕 상무, 한국철강 이수하 이사와 철스크랩 업계에서 정산철강 이강주 대표, 네비엔 이범식 대표, 경기스틸 우희동 대표, 성호기업 손명익 대표 등 20여명이 참석했다.
철스크랩위원회는 철스크랩의 수요와 공급의 안정적 확보와 철스크랩 품질개선 및 가공처리 향상을 위해 2005년 12월 발족하였으며, 현재 수요사 10개사, 공급사 13개사가 참여하고 있다.
철스크랩위원회
2011-04-11
579
강관협의회, 2011년도 제1회 이사회 개최
● 친환경 에너지부문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공동 활동 중점 추진● 신임회장에 신성재 현대하이스코 사장 선임
한국철강협회 강관협의회는 4월 8일(금) 오전 11시 리베라호텔 2층 헤라홀에서 2011년도 첫 이사회를 갖고 신임회장에 신성재 현대하이스코 사장을 선임하고, 2011년도 사업계획을 확정했다.이날 확정된 사업계획에 따르면 올해 강관협의회는 강관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 도출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공동활동을 중점 추진하기로 하였다.먼저 강관협의회는 신성장동력으로 기대되는 친환경?에너지부문의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국내외 에너지용 강관수요 조사」와 「강관말뚝 친환경 우수성 연구」활동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강관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공동 마케팅 활동으로 매년 5월 미국 휴스톤에서 개최되는 해양기술국제전시회 OTC 전시회에 소재사인 포스코와 조선기재자조합과 공동으로 한국관 공동 전시회를 추진하며, 강관말뚝 시장조사 활동 및 고강도강 사용 확대를 위한 활동 등을 추진한다. 이 밖에도 국내외 경영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발전방향 모색을 위해 「제7회 강관산업발전세미나」를 개최하고, 강관업계의 신기술을 공유하고 기술개발을 독려하기 위한 「강관 신수요?신기술 심포지엄」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날 이사회에는 신임 강관협의회 회장(현대하이스코 사장)을 비롯하여 세아제강 이휘령 사장, 휴스틸 안옥수 사장, 미주제강 윤해관 회장, 박종원 동양철관 사장 등이 참석했다.한국철강협회내에 사무국을 두고 있는 강관협의회는 강관산업의 대외 경쟁력 향상과 강관산업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2005년 3월 발족하여 세아제강, 현대하이스코, 휴스틸, 미주제강, 동부제철 등 국내 20개 강관업체가 참여하고 있다.
강관협의회
2011-04-08
578
2011 스테인리스강 심포지엄 개최
한국철강협회 스테인리스스틸클럽은 저탄소 녹색성장을 추구하는 세계적인 동향과 더불어 친환경
및 위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품질이 우수하고 환경 친화적인 소재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스테인리스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국부식방식학회과 공동으로 '스테
인리스강 심포지엄'을 개최코자 하오니 공사다망 하시더라도 부디 참석하셔서 보람되고 유익한 시간
이 되시길 바랍니다.
[심포지엄 개요]
- 일 시 : 2011년 4월 28일(목) ~ 29(금)
- 장 소 : 제주도 라마다프라자호텔 8층 탐라홀
- 주 최 : 한국철강협회 STS클럽, 한국부식방식학회
- 사전등록기간 : 4월 20일(한)
* 심포지엄 일정*
- 기조강연-
Corrosion of Stainlesssteels(G.S Frankel)외 1개 주제
- 상수도용 고내식 STS강의 부식특성(서울시) 외 9개 주제
* 이틀에 걸쳐 진행됩니다.
* 본 심포지엄을 제주도에서 개최함에 있어 참석을 위해 항공 및 숙박 예약이 필요하시면 성원관광
(여행사) 이미옥님께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www.sungwontour.co.kr / Tel.02-737-1725 / E-
mail. jjdd21@hanmail.net)
* 봄시즌 성수기로 인하여 항공 및 숙박 예약에 어려움이 있을실지 모르니, 미리 예약하셔야 함을
안내드립니다
* 심포지엄 행사 일정 및 내용은 주관사 사정으로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세부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스테인리스스틸
2011-04-06
101
102
103
104
105
검색
제목
작성자
검색
한국철강협회
주소
서울특별시 송파구 중대로 135(아이티벤처타워) 동관 15층 (우편번호 : 05717)
Tel
02-559-3572
Fax
02-559-3509
스테인리스스틸 클럽
제품소개
스테인리스스틸 개요
스테인리스스틸 특성
스테인리스스틸 표면처리별 분류
스테인리스스틸 강종별 분류
스테인리스스틸 제조 및 가공 공정
회원사
회원사 현황
관련 사이트
클럽 소개
개요
사무국
운영요강
찾아오시는 길
가입 절차
정보/자문
뉴스&회원사소식
교육&세미나
STS 시황 및 동향
STS 기술 정보
STS 기술 자문
사진/영상
사진자료실
영상자료실
제품 기획안 상시 공모
KOSFA (스틸하우스)
제품소개
개요
특징
용어해설
스틸하우스 갤러리
회원사
회원사현황
KOSFA
개요/인사말
사무국 안내/조직
운영요강
가입절차
알림/자료
뉴스&회원사소식
교육&세미나
자료실
자격검정시험안내
사진/영상
사진자료실
영상자료실
강구조센터
제품소개
강재일반
규격 및 종류
구조용 강재의 활용
회원사
회원사 현황
가입 안내
강구조센터
개요/인사말
사무국안내/조직
설립목적 및 주요 활동
운영요강
찾아오시는길
알림/자료
뉴스&회원사소식
교육&세미나
자료실
사진/영상
사진자료실
영상자료실
철스크랩위원회
제품소개
개요
특징
분류/용도
회원사
회원사현황
철스크랩위원회
개요/인사말
사무국안내/조직
운영요강
찾아오시는길
가입 절차
알림/자료
뉴스&회원사소식
교육&세미나
자료실
고의적 불순물 신고센터
고의혼적사례
철스크랩 운반 전용차량
사진/영상
사진자료실
영상자료실
강관협의회
제품 소개
강관 정의
강관 용도
강관 제조 공정
회원사
회원사 현황
협의회 소개
인사말
사무국
운영요강
찾아오시는길
분과위원회
공지/자료
뉴스&회원사소식
교육&세미나
자료실
기술자문
기술자문
사진/영상
사진자료실
영상자료실
선재협의회
제품소개
개요
분류/용도
회원사
회원사 현황
선재협의회
개요/인사말
사무국안내/조직
운영요강
찾아오시는길
분과위원회
알림/자료
뉴스&회원사소식
교육&세미나
자료실
사진/영상
사진자료실
영상자료실
HOME
고객센터
사이트맵
스테인리스스틸
기술상담
스테인리스
적용 제품 개발
기획안 공모
스틸하우스
교육신청
철스크랩 운반
전용차량
철스크랩 고의적
불순물 신고센터
철스크랩 산업발전
아이디어센터
강관협의회
기술상담